투닥투닥일상

응급실 뺑뺑이 문제 겪어보니 심각성을 알겠더라구요.

ksy0406 2025. 3. 19. 09:27

 

응급실을 찾아다니는 구급차 사진

 

최근 뉴스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응급실 뺑뺑이 문제, 이제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

위급한 응급환자가 병원 여러 곳을 전전하다 제대로 된 치료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의료 서비스의 단순 미흡이 아니라, 의료 시스템 전반의 문제를 보여주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입니다.

오늘은 응급실 뺑뺑이 문제의 원인과 현황, 그리고 고민해야 할 해결 방안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1. 응급실 뺑뺑이란 무엇인가요?

응급실 뺑뺑이란, 위중한 상태의 응급환자가 한 병원에서 치료를 거부당하고, 또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며 골든타임을 허비하는 상황을 일컫습니다.

주요 원인은 병상 부족, 의료진 부족, 의료기관 간 소통 부재 등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특히 대형병원과 수도권에 환자 쏠림이 심해지면서 지방과 중소도시에서는 이 문제의 심각성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누구나 응급 상황에 놓였을 때 바로 치료받기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는 것입니다.

 

2.응급실 뺑뺑이 문제의 주요 원인.

 

1) 중환자 병상과 의료진의 부족

많은 병원이 응급환자를 수용하고 싶어도 중환자실 병상이 부족하거나, 전문 의료진이 턱없이 모자란 상황입니다.

특히 중증 환자의 경우, 일반 병상보다는 집중 치료가 가능한 시설과 인력이 필요하기에 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집니다.

 

2) 실시간 병상 정보 공유 시스템의 한계

현재 병원 간 실시간 병상 현황을 공유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지역별로 관리 체계가 상이하거나 시스템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국 119나 이송 담당자가 어디로 보내야 할지 우왕좌왕하게 되고, 응급실 뺑뺑이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3) 의료 자원의 수도권 집중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환자들이 몰리는 현상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지방 병원은 장비, 인력 부족으로 고위험 환자를 수용하기 어렵고, 환자는 더 나은 치료 환경을 찾기 위해 대도시 병원으로 향하다 보니 병상 부족은 악순환되고 있습니다.

 

3.응급실 뺑뺑이,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1) 병상 확충과 병상 정보 시스템 통합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중환자실 병상을 더 많이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전국적으로 실시간 병상 정보 시스템을 통합해, 병원 간 원활한 소통과 빠른 병상 배정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합니다.

병상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야 응급실 뺑뺑이 문제도 해소됩니다.

 

2) 지역 응급의료센터 지원 강화

수도권 집중 현상을 완화하려면 지방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합니다.

의료진 인력난 해소, 최신 장비 지원 등으로 지역 응급센터의 기능을 강화하면 지역 내에서 충분히 환자 치료가 가능해져 응급실 뺑뺑이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응급의료 컨트롤타워 구축

119, 의료기관, 지자체, 정부가 협력할 수 있는 응급의료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합니다.

컨트롤타워가 전국 병상 현황과 환자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효율적인 병원 배정을 하면, 불필요한 이송과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응급실 뺑뺑이 문제, 이제는 바뀌어야 합니다.

 

응급실 뺑뺑이 문제는 단순히 병원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예기치 않은 응급상황에 놓일 수 있고, 골든타임 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정부, 의료계, 그리고 시민 사회 모두가 응급실 뺑뺑이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할 때입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더 많은 분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현재 현장에 계신 모든 의사분들께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그 분들 덕분에 어제 치료도 잘 받았습니다.

겪어보니 알겠더라구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괜찮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