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여권 파워, 세계 39위까지 하락…무슨 일이?
1.한때 세계 10위권이던 한국 여권, 2025년엔 39위?
여권만 있다면 세계 어디든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지금… 한국여권 파워가 대단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ㅜㅜ
2025년 기준, 한국 여권이 '글로벌 여권 지수'에서 39위로 뚝 떨어졌다는 소식입니다.
2024년엔 32위였는데, 단 1년 사이에 무려 7계단 하락이라니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2. 여권 파워 지수'는 어떻게 평가되나요?
이번 순위는 영국 글로벌 투자 이민 컨설팅 회사 노매드 캐피털리스트(Nomad Capitalist)가 발표한
‘2025년 세계 여권 순위(Passport Index)’에서 공개된 결과입니다.
이 지수는 단순히 비자 면제 국가 수만 따지는 게 아니라,
아래 다섯 가지 항목을 복합적으로 평가합니다.
1. 비자 면제 국가 수 (50%)
2. 국내 과세 정책 (20%)
3. 이중 국적 허용 여부 (10%)
4. 개인의 자유 (10%)
5. 국제 사회의 인식도 (10%)
즉, 여권을 소지한 개인이 어느 나라에 얼마나 자유롭게, 부담 없이, 신뢰받으며 이동하고 정착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따진 지표인 것입니다.
3.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요?
그렇다면 세계 여권 순위 상위권 국가들은 어딜까요?
- 1위 : 아일랜드 🇮🇪
- 2위 : 스위스 🇨🇭
- 3위 : 포르투갈 🇵🇹
- 4위 : 룩셈부르크
- 5위 : 핀란드
공통점은 뭘까요?
국내 과세가 유리하고, 이중 국적 허용이 넓으며, 시민의 자유와 국제 신뢰도가 매우 높다는 점입니다.
반면,
- 일본 : 37위 (공동)
- 한국 : 39위
- 중국 : 119위
- 북한 : 192위
순위만 봐도 확연한 격차가 있는것 느껴 지시죠?
4. 한국 여권, 왜 이렇게 하락했을까?
비자 면제 국가 수만 보면 한국은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여권인데도 불구하고…
이번 순위 하락은 다음과 같은 점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 한국은 이중 국적 허용이 매우 제한적 입니다.
- 거주자에 대한 세금 과세 범위도 비교적 광범위한 편입니다.
- 그리고 최근 사생활 보호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우려가 국제 사회에서 일부 제기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즉, 여권은 단지 '여행용 문서'가 아니라
그 나라의 법적 자유도 + 경제적 유연성 + 국제 신뢰도를 반영하는 '패키지 지표'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5. 꼭 나쁘다고만 볼 수 있을까?
흥미로운 건,
‘헨리 여권 지수(Henley Passport Index)’ 같은 다른 지표에선
한국 여권이 여전히 전 세계 TOP 5권 안에 들고 있다는 것!
그 이유는 평가 기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 헨리 지수는 비자 면제 국가 수 중심
- 노매드 지수는 세금, 자유, 이중 국적 등 복합 평가
결국 한 가지 지표만 보고 판단하기보단,
다양한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보아야 진짜 ‘여권의 힘’을 알 수 있겠죠?
한국 여권, 예전엔 "여권만 있으면 세계 절반은 공짜"라는 말도 있었습니다.
요즘 들어 자꾸만 순위가 내려가고 있어서 걱정이라는 분들도 계시고,
"실제 체감은 별로 없어"라는 분들도 계시죠!
여권은 단순한 신분증이 아니라
한 나라의 가치, 자유, 국제 신뢰를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하다는 점!
이번 기회에 함께 되새겨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괜찮을 거에요.
'알고챙겨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태국 송크란 축제 일정 및 준비물_이것만 알아도 준비끝! (2) | 2025.04.10 |
---|---|
우레시노·니세코 온천 입욕 제한 이유는? 온천수 고갈과 관광 정책 변화 (0) | 2025.04.07 |
봄 제주 호텔 시장 이상기류… 공실률 증가 이유와 소비자 기회! (4) | 2025.04.02 |
2025 종묘 정전 환안제 개최! 조선 왕·왕비 신주 5년 만에 귀환 (0) | 2025.03.31 |
경북 산불 최초 실화 혐의자 입건… 50대 남성의 성묘 중 불씨? 혐의는 여전히 부인 중! (0) | 2025.03.30 |